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생활정보

차가버섯의 효능과 먹는법 - 암세포 억제, 재발방지 버섯

자작나무 등 활엽수의 생목이나 고사목에 기생한다고 합니다. 차가버섯의 원산지는 러시아 시베리아의 바이칼 호수 서쪽 삼림지대다. 북아메리카나 북유럽, 중국 북부, 한반도 일부와 일본 홋카이도 등 북반구에서 발견된다고 합니다. 차가버섯의 ‘차가(чага)’는 러시아어를 우리말로 발음한 것이라고 합니다. 오래전부터 러시아와 동유럽에서 민간요법 치료제로 사용했으며 한국에서도 약용버섯으로 간주한다고 하며 한반도의 경우 차가버섯에 해당하는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이 자생한다고 합니다.

 

차가버섯의 생태

대개 자작나무에 발생하지만, 오리나무, 물푸레나무, 버드나무 등에서도 발견된다. 차가버섯 포자는 상처가 난 가지를 통해 나무에 들어간다고 하며 포자는 목재의 조직을 썩게 하는 곰팡이 균인 백색부후균이며 균에 감염되면 나무가 하얗게 썩어 백색부후라 부른다고 합니다. 백색부후는 목재의 세포벽 성분이 분해하며 섬유상 형태로 부서지게 만든다고 합니다. 차가버섯 자실체는 배착성으로 수피 아래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것은 균핵이라고 합니다. 균핵은 표면이 흑색이며 면이 거칠게 형성된 검은 탄 모양이라고 합니다. 내부는 황갈색 목질로 코르크와 유사하지만, 건조하면 쉽게 부서지고 떨어진다. 관공의 구명은 미세하고 암갈색이며 흔히 균핵을 차가버섯이라 말한다고 합니다.

 

차가버섯의 효능

전통적으로 가루로 만들어 차를 우려 마신다고 합니다. 차가버섯은 베타글루칸(Beta Glukan) 함량이 높은 편이라 항암이나 항산화작용, 면역 강화 등과 관련해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베타글루칸은 버섯이나 효모 등에 포함된 다당류(식이섬유)의 하나이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기능이 있어 심장질환 등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특히 버섯에 있는 베타글루칸은 면역기능 활성화와 항종양작용이 있다고 알려졌다고 합니다. 단, 뜨거운 물로 우려낸 차에서는 건강에 유익한 성분이 파괴되는 경우가 많아 효과적인 추출, 섭취 방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러시아 시베리아 와 같이 추운지방에서 파생이 돼는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천연버섯 차가버섯

 

차가버섯은 보통 15년-20년에서 성장

대부분의 버섯은 죽은 나무에서 자라게 돼지만

차가버섯은 살아있는 나무에서 자라게 돼어 생명력이 아주강해서

성장이 끝난 차가버섯은 영양분을 빼앗아 자작나무가 죽겠된다고 하네요 

 

이 자작나무 한그루당 차가버섯은 하나만 자라서 아주 귀하다고 합니다.

차가버섯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진이유는

러시아의 작가 알렉산드로 솔제니친에 의해 대중화 되었다고 합니다.

 

이 작가가 말기위암선거를 받고 자기의 치료기를 쓴 소설을 수필하면서 

민간요법으로 차가버섯을 소개 했다고 하며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고 합니다.

 

차가버섯의 어떤성분이 좋은가

- 자작나무에서 많이 생리활성 물질을 10년이상 흡수한 크로모겐 콤플렉스라고 합니다.

차가버섯에는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sod효소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베타글루칸 등 항암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크로모겐 콤플렉스란? 
- 베타글루칸,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효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면역력의 집합체라고도 
불린다고 하네요.
수치가 높을수록 고품질이라고 합니다.

(러시아 약전에서는 크로모겐 수치가 10프로 이상일경우에만
상품화를 한다고 합니다.
러시아 의학청에서는 1955년부터 차가버섯 추출물을 항암용 물질로 승인했다고 합니다.)

 

차가버섯이 폐암휴유증개선에 도움이 되는 이유? 

버섯이 항암치료로 주목을 받기시작한 이유는 베타글루칸인데요.

베타글루칸이 정상세포에 면역물질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아주 유명하지요.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이 대부분의 암의 증식, 재발을 막아주는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출처 내몸사용설명서)

특히 차가버섯에 들어있는 베타글루칸은 우리 몸에 직접 작용한다고 합니다.

 

차가버섯 섭취시 주의할점


차가버섯 외부에 보이는 검은 "sclerotium" 은 다량의 멜라닌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차가 버섯은 유기체 중에서 가장 높은 옥살산 수치인 2800~11200 mg/ 100g sclerotium 의 "oxalate"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고 합니다.
"oxalate"가 많이 들어 있는 음식에는 차가버섯,시금치,비트나물 등이 있다고 하네요.
"oxalate"는 수용성 불용성이 있으며 이중에 수용성은 혈중에 free oxalate를 방출하는데 이는 칼슘과 결합을 하여 
통풍 또는 신장결석 등의 질병을 일으키고과도한 복용이 있을경우 신병증에 의한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고 합니다.

 

러시아의 검은 보석(차가버섯)

이 성분들은 막 끓여서 먹으면 영양손실이 올수도 있기 때문에

따뜻한 물에 우려서 섭취할때가 좋다고 합니다.

 

버섯이 많으면 살이 안찐다는 말이있듯이 

장이 아주 민감하신분들은 (식이섬유가 많기때문에)

하루 권장 섭취량 1g을 지켜서 드시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차가버섯 활용법 (먹는법)

 

 

1. 미온수에 우린 차가버섯차

 

2. 차가버섯 우린물로 밥짓기

 

차가버섯은 원래 딱딱한 목질 형태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루로 섭취

입자가 작아져 소화흡수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받을수있다고 합니다.